





document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Lb1Mn67h_5Y
Keep Moving은 ‘Proposition’, ‘Instruction’, ‘Institution’이라는 세 장으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영상 설치 작업이다. 관객이 멈춰 서면 자신의 모습이 스크린에 투사되고, 반대로 움직임이 클수록 영상과 텍스트는 더욱 선명해진다. 하지만 영상을 주의 깊게 보기 위해 자리에 앉는 행위는 오히려 화면을 사라지게 만들며, 감상하려는 시도 자체가 역설적으로 감상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동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술 감상이 자율성과 주체성의 영역으로 여겨지지만, 실은 제도적 규율과 통제의 메커니즘 안에서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관객의 몸과 시선을 미묘하게 조율하는 이 시스템은, 감상의 자유조차도 정교하게 통제된 조건 속에 놓여 있음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본 작업은 California Proposition 65, Error 404와 같은 제도적 경고 시스템이 위험과 오류를 ‘보이게 하면서도’ 은폐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예술 감상 속에도 시각화와 비시각화의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작품은 동시대의 훈육 메커니즘과 감각의 정치성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Keep Moving is an interactive video installation composed of three chapters: Proposition, Instruction, and Institution. When the viewer stands still, their own image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while increased movement sharpens the visibility of the video and accompanying text. However, the act of sitting down to concentrate causes the screen to disappear—turning focused attention into a paradoxical barrier to perception. This structure reveals that the act of viewing art, often assumed to be autonomous and subjective, is in fact deeply embedded within mechanisms of institutional regulation and control. By subtly orchestrating the viewer’s body and gaze, the work metaphorically exposes how even perceptual freedom operates within conditions of discipline. Mirroring systems like California Proposition 65 and Error 404—both of which visualize risk or error while simultaneously obscuring them—the piece highlights how strategies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shape the act of viewing itself. In doing so, Keep Moving questions contemporary disciplinary regimes and the politics of perception in the realm of art.